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2021 군장병 공개SW 온라인 해커톤] 후기 선발 과정 코딩 테스트(25%) + 계발 계획서(25%) + 이론평가(25%) + 강의 수강(25%) ● 코딩 테스트 2시간 동안 총 4문제를 푸는 방식이었다. 1번, 3번 문제는 난이도가 적당해 보였고 2번 문제는 해결 불가능해 보였으며 4번 문제는 시간이 충분하다면 풀만해 보였다. 하지만 생각보다 1번 문제에서 시간을 오래 쓰게 되었고 3번 문제까지 풀고 나니 시간이 별로 없었다. 4번 문제는 시간상 거의 풀지도 못하였다. 문자열 문제 풀이를 많이 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 계발 계획서 해커톤을 진행하면서 본인이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서술하면 된다. 프로젝트 개발 배경, 개발 과정, 의의 등을 작성해야 한다. ● 이론평가 + 강의 수강 본인이 선택한 분야의 강의를 듣고 그 강의에 대한 시험을 보는 것.. 2022. 1. 16.
[Github] Token을 이용하여 git push 하는 법 예전에는 github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로컬에서 저장소로 push 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21년 8월부터 token을 이용하지 않으면 push를 할 수 없게 되었다. 새로운 환경에서 github을 이용할 때마다 매번 구글링을 하여 token을 생성하는 방법, token을 이용하여 저장소에 코드를 올리는 방법 등을 찾아보았다. 매번 구글링 하는 게 귀찮아서 직접 token을 이용하여 git push 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하게 되었다. Personal Access Token 생성 1. 프로필 > 세팅 2. Developer settings을 누른다 3. 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4. 토큰의 용도를 작성하고 토큰의 접근 범위 선택 > Gene.. 2022. 1. 12.
[Python] Selenium을 활용한 에브리타임 스크래핑(1) - Colab 친구의 실험/연구 참여를 돕기 위해 에브리타임 홍보게시판 스크래핑을 진행하게 되었다. 홍보게시판 스크래핑을 통해 실험 관련 새 글이 올라오면 메시지를 보내주는 봇을 만들었다. 그런데 왜 에브리타임 크롤링이라고 적지 않았을까? 크롤링과 스크래핑의 차이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Web crawling, also known as Indexing is used to index the information on the page using bots also known as crawlers. Web scraping is an automated way of extracting specific data sets using bots which are also known as ‘scrapers’. 웹사이트에서 특정 데이.. 2022. 1. 12.
[BOJ] 1806번: 부분합 (C++) Problem 1806번: 부분합 첫째 줄에 N (10 ≤ N < 100,000)과 S (0 < S ≤ 100,000,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열이 주어진다. 수열의 각 원소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Solution 구간 합의 시작을 가리키는 start 포인터와 끝을 가리키는 end 포인터를 두고 조건에 맞게 end 포인터와 start 포인터를 증가시키면 된다. 처음부터 숫자를 하나씩 더해가면서 합이 S 이상이 되면 start 포인터를 1 증가시키고 합을 갱신한다. 갱신된 합이 S보다 작으면 end 포인터를 합이 S 이상이 될 때까지 증가시킨다. 이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 end - start의 값을 계산하여 가장 짧은 부분합의 길.. 2022. 1. 4.